라즈베리파이에 대한 경험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은 라즈베리파이가 대학 과제에 많이 쓰여서 왔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저도 대학때 라즈베리파이로 FTP서버, 크로스 컴파일링 등 몇개의 프로젝트를 해보았구요. 하지만 이 경험이 산업에 쓰이고 취업에 도움이 되어야 하는데 실제로 이를 정확히 아는 사람이 많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와 관련되어 이야기를 드리려고 합니다.
라즈베리파이3이 어디 회사에 쓰이는지 아시나요?
제가 다녔던 회사만 하더라도 QT플랫폼으로 라즈베리파이3에 업로드 하여 기기를 제작하였습니다. 이 제품으로 실제로 이렇게 해서 돈도 정말 많이 벌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기 회사들은 C# -NetFramwork와 C++- QT 플랫폼을 사용하기 때문에 임베디드 또는 윈도우 프로그래머라면 이 2개는 필수 공부 요소인듯합니다.
라즈베리파이를 쓰는 이유는 안드로이드의 기능을 다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최소한의 OS기능만 탑재하여 팔기 때문에 실제 라즈베리파이를 직접 다뤄보는 연습또한 필요해 보일 듯 합니다.
설치 방법
라즈베리파이 시작 준비물
1.라즈베리파이
2.모니터
3.HDMI모니터 연결선
4.마이크로 sd메모리카드(+마이크로 SD카드를 연결하기 위한 USB)
5.마우스
6.키보드
->2.라즈베리파이를 시작할때 다양하게 시작을 하지만
나는 컴퓨터용 모니터 설치를 하였습니다.
->3.모니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HDMI 선 있어야 합니다.
->4.라즈비안을 다운받기 위한 마이크로SD메모리카드가 필요합니다.
라즈비안 설치 방법
sd 메모리카드에 라즈비안이라는 데스크톱용 이미지를 넣어주고 Etcher(SD카드 USB로 시리얼 연결 가능하게 해주는 기기)를 이용해서 sd카드에 인식시킨다. [PC->SD : OS다운]
warning : 1.win32로 이미지를 넣어주면 안됩니다. 이유 : 라즈베리파이가 win64bit인듯합니다.
2.SD카드 넣어주고 모니터 전원 연결해주고 HDMI선을 연결해주면 끝 저절로 실행 미국영어로 실행해야 글자가 안깨집니다.
TIP
- 마지막으로 실제 회사에서는 라즈베리파이를 SSH연결하여 putty화면으로 PC에서 크로스컴파일링 작업을 합니다.
다음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공부
'리눅스 >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gpio led 시스템 레지스터 메모리 맵 입출력 방식 (0) | 2020.09.03 |
---|---|
리눅스 커널 설치와 hello 모듈 프로그래밍 (0) | 2020.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