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리눅스 연습(fedora, ubuntu)

2부 리눅스 운영 명령어들 2편 + [인프라 TIP]

피어나는 열정 2022. 7. 14. 19:07

 

[인프라 TIP]

회사에서는 인프라 환경에서 자주 사용하는것은  OS 설치,삭제 그리고 어떤 정보가 오가는지 확인합니다.

 

dmidecode

메모리의 하드웨어 정보를 출력할수 있습니다.  wsl 에서는 확인할수 없고 리눅스 자체 환경에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dmidecode -s

 

lscpu

cpu 확인 방법

lspci | grep VGA

gpu 확인 명령어

lspci | grep VGA

free

이 경우, 물리 메모리 3967756KB, 사용된 물리 메모리 585676KB, 남은 물리 메모리 3005508KB, 공유 메모리 3108KB, 버퍼 및 캐시 메모리 376572KB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왑 메모리 1048576KB, 사용된 스왑 메모리 0KB, 남은 스왑 메모리 1048576KB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왑 메모리란, 실제 메모리 Ram이 가득 찼지만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할때 디스크 공간을 이용하여 부족한 메모리를 대체할 수 있는 공간

UEFI

UEFI는 BIOS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표준입니다. UEFI는 BIOS보다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더 큰 파일 크기를 지원합니다. BIOS는 최대 1MB의 파일 크기를 지원하지만, UEFI는 최대 4GB의 파일 크기를 지원합니다.
  • 보다 빠른 부팅 속도를 제공합니다. UEFI는 BIOS보다 빠른 부팅 속도를 제공합니다.
  •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UEFI는 BIOS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UEFI는 하드웨어 가속화, 보안 강화, 멀티 부팅 기능 등을 지원합니다.

UEFI는 2011년부터 출시되는 대부분의 PC에 기본으로 탑재되고 있습니다.

 

 

 

 

1.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와 허가권

파일 유형

"이름"이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 모른다. 

d 인 경우에는 디렉터리, -는 일반적인 파일인 경우, 그외에 b,c,l 등이 있다.

 

파일 허가권

파일의 특징을 소유자, 그룹, 그외 사용자을 구분해서 rwx 로 표현하였다.

rwx는 각각 r : read, w : write, x : execute 을 뜻한다.

이 표현들을 켰다 끄다 이진법으로 표현한다. 

 

파일 소유권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와 그룹을 의미한다.

명령어

chown 새로운 사용자 이름(. 새로운 그룹 이름) : 소유자를 사용자. 그룹 으로 바꿔주는 명령어이다.

 

 

2.리눅스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

 

리눅스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 

페도라 리눅스에서 패키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RPM, YUM이다.

초창기 리눅스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것이 어려워서 초보자들에게 난제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여 레드헷사에서 Windows의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바로 실행할수 

있는 설치 파일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설치 파일의 확장명은 *.rpm

 

설치 파일 명령어

rpm 

 

페도라 버전

fc 19 : Fedora 19

 

아키텍처 x86_64

x86 계열의 64비트 CPU를 의미한다. 즉, 이 파일을 설치 할 수 있는 CPU를 뜻한다.

 

RPM의 단점

예전 리눅스의 프로그램 설치 보다는 획기적으로 편리해지기는 했지만, 'rpm'명령어 역시 단점이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의존성"문제이다.  웹 브라우져인 firefox 는 x 윈도에 의존성이 걸려 있으므로 설치가 되지 않는다.

 

YUM

yum 명령어는 rpm 명령어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해 준다. 

특정 패키지를 설치하고자 할때 의존성이 있는 다른 패키지를 자동으로 먼저 설치해 주는 인공지능을 갖춘 명령어 이다.

 

 명령어

yum -y install 패키지 이름

 

3. 파일과 시스템 관리

파일 압축과 묶기

윈도우는 파일 압축과 묶기를 동시에 하지만 리눅스는 파일 압축과 파일 묶기를 원칙적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실행하도록되어 있다. 한번에 할 수 있는 옵션도 있다.

 

명령어

gzip : 확장명 gz으로 압축하거나 풀어준다.

tar : 확장명 tar로 묶음 파일을 만들어 주거나 묶음을 풀어준다.

 

파일 위치 검색

리눅스에서 특정 파일의 위치를 검색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명령어

find /etc -name "*.conf" : /etc디렉터리 하위에 확장명이 "*.conf" 파일 검색

 

which 실행파일 이름 : PATH에 설정된 디렉터리만 검색한다.

whereis  실행파일 이름 :  실행 파일 및 소스, man 페이지 파일까지 검색한다.

locate 파일이름 : 파일 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기 때문에 매우 빠르고 유용하지만 updatedb 명령어를 1회 실행해줘야 사용할수 있다.

 

시스템 설정

system -config -date : 날짜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system -config -network : 네트워크 개념을 학습하고 자세히 다룬다.

firewall -config : 방화벽 설정

system -config -services : 서비스(데몬)이 시작, 중지, 재시작 및 사용 여부를 설정 할때 사용한다.

 

Cron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작업을 예약해 놓는 것을 cron이라 부른다.

분 시 일 월 요일 사용자 실행명령

00 05 1 * * root cp -r /home /backup ; 매월 1일 새벽 5시  요일 상관 안함 root 권한으로 홈디렉터리가 백업에 복사함.

 

at : 일회성 작업을 예약하는 것이다.